논문이 리젝되지 않으려면? 심사위원이 선호하는 구조와 템플릿 전략

영향력 있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아이디어 전달을 넘어, 심사위원의 기대에 부합하는 구조화된 글쓰기가 필수입니다. 많은 논문이 리젝되는 가장 큰 이유는 내용의 질이 아니라, 학술지 특성에 맞는 구성과 형식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문 길이, 각 섹션의 적절한 분량, 그리고 특정 구조적 요소의 포함 여부를 저널별 특성에 맞게 조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드립니다. 심사를 통과하는 논문을 쓰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dkhan's avatar
Nov 04, 2025
논문이 리젝되지 않으려면?
심사위원이 선호하는 구조와 템플릿 전략

영향력 있는 논문 템플릿의 구조적 핵심 요소는?

저자들이 수백 편의 논문과 경험을 통해 추출한, 심사위원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논문이 채택될 가능성을 높이는 입증된 논문 구조(청사진, blueprint)가 존재합니다.

심사위원들은 수년간 논문을 검토하면서 해당 학술지나 분야에 적합한 '정말 좋은 논문'의 알려진 패턴(known pattern)을 정해놓았으며, 논문이 이 기대에 부합할 때 긍정적인 첫인상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영향력이 큰 논문 템플릿의 핵심 구조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또한, 이 템플릿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목표하는 학술지나 분야에 맞춰 각 섹션의 유무, 순서, 그리고 적절한 길이를 맞춤 설정해야 합니다.

연구 논문 템플릿의 핵심 구조 요소

1. 서론 (Introduction)

대부분의 논문(일반적으로 99%)에서 서론은 다음 요소들로 시작합니다.

  • 주제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topic): 연구 주제가 사회, 세계, 해당 분야, 또는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인 이유를 설명합니다.

  • 간략한 문헌 검토 (Brief literature review): 주제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알려주어 배경(context)을 설정합니다. (때로는 한 단락, 때로는 두세 단락)

  • 연구 격차 (Research Gap): 주제에 관해 아직 알지 못하는 내용, 이전 연구의 한계점 등을 한 단락 또는 몇 문장으로 설명합니다.

  • 연구 목표 (Research Aim): 연구의 목표를 명시합니다.

✅ 선택적 요소

  • 논문의 기여 (Contributions of your paper): 연구 목표 다음에 논문의 참신한 기여를 강조하는 한 단락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논문의 구조 (Structure of the paper): 서론의 마지막에 논문의 전반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단락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2. 문헌 검토 (Literature Review)

이 섹션은 선택적 요소이며, 특히 사회 과학 분야에서 더 흔하고, 정확한 과학 분야에서는 덜 일반적입니다.

  • 목적: 분야에 대해 이미 알려진 바를 간략히 설명하고, 궁극적으로 연구 격차와 해당 연구의 필요성(need for your study)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 구조: 서론에서 사용했던 간략한 문헌 검토 단락 각각이 문헌 검토 섹션의 별도 소제목이 될 수 있으며, 각 문장은 문헌 검토 섹션의 미니 단락이 될 수 있습니다.

3. 이론적 틀 또는 개념적 (Theoretical Framework or Conceptual Framework)

이 역시 선택적 요소로, 해당 분야나 연구의 성격에 따라 포함 여부가 결정됩니다.

  • 내용: 사용할 이론이나 개념적 틀에 포함되는 개념들을 제시하고, 정의하며, 해당 이론/개념을 선택한 이유와 그것이 연구의 방법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정당화해야 합니다.

4. 방법론 (Methodology) 또는 재료 및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방법론 섹션(정확한 과학에서는 종종 재료 및 방법이라 불림)에는 반드시 세 가지 주요 요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1. 연구 대상/재료 (What or Who you studied):

    1. 연구 대상(사람 또는 재료/물질)이 무엇인지 또는 누구인지

    2. 연구된 대상의 양(how much)

    3. 표본/재료를 어떻게 얻었는지 (예: 무작위 표집, 재료의 입수 방법 및 특성)

  2. 연구 도구 및 절차 (Research Tools and Procedures):

    1. 연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 도구(예: 설문지, 인터뷰, 기계, 현미경)

    2.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을 연구하기 위해 취한 단계별 절차(steps)

  3.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1. 사용된 데이터 분석 기법이 무엇인지

    2. 해당 기법이 단계별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제시해야 합니다.

✅ 선택적 요소

  • 연구 배경/상황 (Context of your study): 연구가 실험실 밖에서 수행되었고, 연구가 수행된 맥락(예: 기후, 인구, 장소)이 방법론과 잠재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만 포함됩니다.

  • 결과, 토론, 및 결론 (Results, Discussion, and Conclusion):

    이 세 섹션은 분야에 따라 분리되거나 (결과/토론/결론),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습니다 (예: 결과 및 토론, 결론 별도; 결과 별도, 토론 및 결론 통합).
    구조가 어떻든 간에, 핵심 요소는 동일합니다.

    📌

    결과

    • 내용: 연구 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 구성: 결과를 조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연구 질문, 목표 또는 가설별로 나누는 것이며, 이들이 결과 섹션의 소제목이 될 수 있습니다. 또는 연구 목표에 답하는 주요 주제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토론

    • 결과 재진술: 토론 섹션이 별도인 경우, 각 단락에서 논의 중인 주요 결과를 간략하게 다시 언급합니다.

    • 이전 연구와의 비교 (Comparison): 자신의 결과를 이전 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교해야 합니다. 비교할 결과가 없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문헌 검토나 서론에서 사용했던 연구를 다시 참조하여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결과 설명 (Explanation): 결과가 놀랍거나 이전 연구와 다를 경우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합니다.

    • 결과 해석 (Interpretation): 결과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래서 무엇인가," so what) 보여주고 핵심 메시지(key takeaway message)를 전달해야 합니다.

    📌

    결론

    • 실제적 및 이론적 함의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결과가 실제(practice)에 미치는 영향이나 해당 분야의 이론 또는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이는 별도의 소제목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안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접근 방식을 옹호하며(defend your approach), 해당 한계점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자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유용한 제안을 제공합니다.

심사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 논문 승인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심사위원의 기대에 부합하는 것은 논문 채택 가능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논문 심사 과정의 초기 단계, 즉 첫인상 형성 단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다음은 심사위원의 기대에 부합하는 것이 논문 채택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입니다.

1. 긍정적인 첫인상 형성의 중요성

  • 매우 빠른 판단: 심사위원들 역시 책을 표지로 판단하는 것과 다르지 않으며, 첫인상을 형성하는 데 평균 39밀리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이는 눈 깜빡임보다 빠른 속도입니다.

  • 알려진 패턴 탐색: 오랜 기간 논문을 검토해 온 심사위원들은 해당 학술지나 분야에 적합한 '정말 좋은 논문'이 갖춰야 할 패턴(known pattern)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mental image)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기대 부합 시 채택 확률 증가: 논문이 심사위원들이 기대하는 패턴에 부합하여 긍정적인 첫인상을 형성할 때, 논문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심사위원의 기대치에 맞춰 논문을 작성하고 구조화함으로써 놀라운 첫인상을 만들고 논문 수락 기회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부정적인 첫인상이 미치는 파급 효과

  • 기대 불일치 시 부정적인 첫인상: 기대가 충족되지 않을 때, 첫인상은 훨씬 더 부정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잠재적 영향: 일단 부정적인 첫인상이 형성되면 이를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비록 심사위원이 논문을 더 자세히 읽더라도, 이 초기 부정적인 첫인상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심사위원이 논문에 부여하는 최종 의견을 부정적으로 오염시킵니다.

3. 청사진 (Blueprint) 사용의 효과

  • 제공된 자료에서 제시하는 입증된 템플릿(청사진)은 수백 편의 최고 수준의 논문을 분석하여 심사위원들이 최고 학술지 논문에 기대하는 바를 정확히 추출하여 구성한 것입니다.

  • 이러한 청사진을 사용하여 해당 학문 분야나 학술지에서 심사위원이 논문이 작성되고 구조화될 것으로 기대하는 방식으로 논문을 작성하고 구조화하면, 논문이 좋은 학술지에 적합하게 만들 수 있으며, 논문이 훨씬 더 빨리 더 나은 학술지에 게재되도록 도울 수 있다고 보장됩니다.

📝

요약하자면,

심사위원의 기대치에 맞춰 논문의 구조(템플릿)를 구성하는 것은 논문이
첫인상 단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심사 과정 전반에 걸쳐 무의식적인 편향(bias)으로부터 보호받아 채택될 확률을 극대화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Share article

Murfy 공식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