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leaf 대신 Murfy, NeurIPS 논문 작성 에디터로 선택받은 이유
👉 Speech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바로가기
Q. 이번 논문의 핵심 문제 정의와 기여는?
이번 논문에서는 저희가 새롭게 개발한 한국어 음성 합성용 전처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했습니다. 자음-모음 단위로 데이터를 균형 있게 구성하고, 텍스트 노멀라이제이션 과정을 거쳐 음성 합성 품질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에요. 특히 저자원 한국어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도록 설계한 점이 특징입니다.
Q. Overleaf에서 Murfy로: 왜 바꾸었는가?
🙅 기존 Overleaf의 불편 사항
- 협업 인원 제한: 무료 플랜은 2인까지 제한 → 여러 명과의 협업 불가 
- Overleaf는 유로계정임에도 long-paper 작성시 컴파일 시간이 느려서 불편했고, 또한 댓글을 많이 달면 lagging 현상을 자주 겪어서 대체 제품을 찾고 있었습니다. 
- NeurIPS 마감 하루 전 서버 다운: 몇시간 이상 접속 불가하여 다들 멘붕이었을때 우리는 Murfy에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 Murfy 선택 이유
- 빠르고 안정적인 컴파일 속도 
- AI 기반 영문법 교정 → 기존 외부 교정 서비스보다 시간 절감 
- 국내 연구자 맞춤 기능 (한국어 UI, 국내 템플릿 등) 
실제 효과: 정량·정성 데이터
| 항목 | Overleaf | Murfy | 
|---|---|---|
| 평균 컴파일 시간 | 10초 | 4초 | 
| 서버 다운 | 이번 NeurIPS 포함하여 여러번의 서버 다운 사태 반복적으로 발생 | 해당 없음 | 
| 협업 효율성 | 댓글이 많이 달리면 느려져서 협업 효율 저하 | 댓글이 수백가 달려도 속도에 전혀 지장 없음 | 
Q. Murfy에 더 바라는 제안 & 기대는?
A. Murfy는 이미 여러 면에서 Overleaf를 뛰어넘었어요. 연구 논문 작성이라는 고통스러운 여정을 함께 도와줄 ‘AI 논문 작성 비서’ 기능이 머피에 추가된다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Q. 이상훈 교수님 랩실에서 추천해주시는 Murfy 온보딩 팁을 알려주세요!
A. Murfy는 국내 사용자들을 고려해 한국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학회 및 전공 수업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LaTeX 템플릿들을 미리 준비해두고 있어서 처음 논문 작성을 시작하는 학부생 대학원생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저희 연구실도 학생들과 함께 공동 저자로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 LaTeX을 접하는 학생들도 Murfy에서 제공하는 각종 AI 기능 덕분에 비교적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어요.
복잡한 설정 없이도 Murfy에서 제공하는 각종 템플릿을 불러와 바로 작성할 수 있는 접근성이 연구 초기 단계의 진입 장벽을 낮춰준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마무리하며
이상훈 교수님의 연구실처럼, 더 많은 연구자들이 “불안정한 서버”나 “느린 협업 툴”이 아닌, 빠르고 정확한 LaTeX 환경에서 연구 성과를 펼치길 바랍니다.
Murfy는 앞으로도 연구자 중심의 편집 경험을 제공하며, 논문 작성의 ‘다음 단계’를 만들어갈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