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프리앰블에 들어가는 코드는 문서 전체에서 딱 한 번만 선언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0. LaTeX 작성 전, 함께 알아둬야 할 기초 개념
프리앰블은 설계도
LaTeX 문서의 맨 앞부분, \documentclass와 \begin{document} 명령어 사이에 있는 부분을 ‘프리앰블(Preamble)’이라고 부릅니다. 이 영역은 문서의 '머리말' 역할을 하고, 문서 전체의 설정을 미리 정해주는 곳이에요.
프리앰블에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내용들을 설정합니다.
문서의 종류: \documentclass 명령어로 논문, 보고서, 책 등 문서의 종류 설정
글꼴 및 여백 설정: 문서의 종류, 글꼴 크기, 여백, 용지 등을 세부적으로 조정
패키지 사용: \usepackage 명령어로 다양한 기능을 추가 (예를 들어, 수학 기호를 더 쉽게 쓰거나 그림을 넣는 기능 등이 여기에 속해요.)
프리앰블의 예시 코드를 같이 봐볼까요?
프리앰블은 문서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문 내용을 작성하기 전에 반드시 기본 구조를 먼저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documentclass[a4paper,12pt]{article} % 문서 종류, 용지, 글자 크기 설정
% (예시) 문서에서 사용할 패키지 불러오기
\usepackage{amsmath} % 수학 기호와 수식 지원
\usepackage{graphicx} % 이미지 삽입
\usepackage{hyperref} % 하이퍼링크
\title{New Paper} % 문서 제목
\author{Author} % 작성자 이름
\date{2025-01-01} % 날짜
% 여기 아래로 문서 본문 입력
\begin{document}
\maketitle % 제목, 이름, 날짜 출력
\end{document}
그리고 컴파일을 하면 아래와 같이 잘 만들어진 PDF를 확인할 수 있어요!
💡
마법 같은 도구, 패키지
LaTeX에서 패키지는 워드 프로세서나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다소 어렵고 복잡한 전문적인 작업을 아주 쉽게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TikZ 패키지로는 복잡한 수학 그래프를 그릴 수 있고, Beamer 패키지를 사용하면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를 만들 수 있어요. 심지어 MusiXTeX 패키지를 사용하면 멋진 악보까지 만들 수 있답니다!
패키지 사용의 장점과 어려움
수많은 패키지 덕분에 LaTeX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LaTeX의 힘은 패키지에서 나온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에요. 하지만 이 패키지들을 처음 사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따라올 수 있습니다.
무엇을 써야 할까?: 패키지가 너무 많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패키지를 찾는 것이 어려워요.
패키지 선택의 고민: 똑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패키지가 여러 개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어떤 패키지가 나에게 더 적합한지 비교가 필요한 순간이 올 수 있어요.
패키지 간의 충돌: 일부 패키지는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경우 한 패키지가 업그레이드되면서 다른 패키지와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관리의 문제: 대부분의 패키지가 오픈소스로 무료지만, 개발자의 사정으로 관리가 중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필수 패키지와 한글 논문 작성 팁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간단한 문서 작업에는 몇 가지 필수 패키지만으로 충분합니다.
한글 사용을 위한 Murfy의 추천 방식
한글로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드릴게요.
기본적인 한글 사용: 한글만 쓰고 싶다면
\documentclass{article}
,\documentclass{report}
,\documentclass{book}
과 같이 문서를 지정하는 기본 클래스와 함께\usepackage{kotex}
명령어를 사용해 보세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한글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논문/보고서 스타일: 한글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논문이나 보고서에 적합한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다면
\documentclass{oblivoir}
클래스를 사용해 보세요. 이 클래스는 kotex 패키지를 자동으로 포함하고 있어 별도로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시스템 폰트 적용: 한글을 쓰면서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를 적용하고 싶다면 XeLaTeX 컴파일러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프리앰블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추가해 원하는 폰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usepackage{xeCJK} \setmainfont{Noto Serif} \setCJKmainfont{Noto Serif CJK KR} \xeCJKsetup{CJKspace=true}
✅
이 코드는 'Noto Serif' 폰트를 기본 폰트로, 'Noto Serif CJK KR' 폰트를 한글 폰트로 설정하는 예시입니다. 이렇게 하면 더욱 개인화된 문서 스타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Murfy는 쉬운 한글 사용을 위해 시스템 폰트 적용 방법을 제공하고 있어요.
프로젝트 에디터의 설정 탭에서 XeLaTeX 컴파일러를 선택하면, 한글 작성에 알맞은 패키지를 적절한 위치에 적용해준답니다. ( → 적용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 포스팅 된 내용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이 방법을 사용하면 번거로운 설정 과정 없이 바로 한글 문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제 LaTeX의 기본 개념을 익혔으니, 다음 챕터에서 소개해 드릴 명령어를 하나하나
실습해 보면서 직접 익혀볼까요?